오토캐드(AutoCAD) 작업을 하다 보면 같은 기호‧부품‧문자를 반복해서 그려야 할 때가 많습니다. 블록(Block) 기능을 활용하면 이러한 반복 작업을 최소화하고, 도면을 더 가볍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초보자도 따라 할 수 있도록 블록 생성부터 관리, 동적 블록(Dynamic Block) 기초까지 단계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블록이란?
- 정의: 여러 개의 객체(선, 호, 텍스트 등)를 하나로 묶어 재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도면 속 미니 파일”.
- 장점
- 반복 요소를 한 번만 작성해 생산성 극대화.
- 블록 하나만 수정해도 삽입된 모든 인스턴스가 동시에 업데이트.
- 파일 용량 감소 및 도면 표준화.
블록 생성 준비 사항
- 도면 단위(UNITS) 설정 확인
- mm, cm, inch 등 프로젝트 기준 단위를 미리 맞춰야 블록 삽입 시 스케일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레이어(LAYER) 지정
- 블록 안의 개별 객체는 원하는 레이어에 배치해 두어야 합니다. 이후 ‘ByBlock’ 색상·선종을 사용하면 삽입 시점에 속성을 제어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 기준점(Base Point) 결정
- 블록을 삽입할 때 스냅이 잡히는 기준 좌표를 어디로 둘지 미리 생각해 두세요.
1단계: 기본 블록 만들기(BLOCK 명령)
순서 | 세부 설명 | 단축키/명령 |
---|---|---|
1 | 블록으로 묶을 개체들을 모두 선택 | – |
2 | 명령행에 BLOCK 입력(또는 리본 메뉴 ▶ 삽입 ▶ 블록 ▶ 작성) | BLOCK |
3 | 대화상자에서 ① 블록 이름 ② 기준점(Pick Point) ③ 개체 선택(Select Objects) ④ 동작 설정(삽입 단위·동결여부 등) 입력 | – |
4 | [확인] 클릭 → 블록 생성 완료 | – |
TIP: ‘Retain’(원본 유지), ‘Convert to Block’(원본을 블록으로), ‘Delete’(원본 삭제) 중 하나를 선택해 원본 객체의 처리 방식을 조정 가능합니다.
2단계: 블록 삽입(INSERT)
I
또는INSERT
입력.- 나타난 ‘삽입’ 창에서 블록 목록 중 원하는 항목 선택.
- 삽입점·스케일·회전 값을 입력하거나 ‘도면에서 지정’ 옵션을 사용해 마우스로 직접 지정.
- 확인 후 화면에 클릭 → 블록 배치 완료.
3단계: 블록 수정(BEDIT / REFEDIT)
방법 A: 블록 편집기(BEDIT)
BEDIT
입력 → 블록 목록 팝업.- 수정할 블록 선택 후 확인.
- 편집 창에서 객체 수정‧추가 후 저장 & 닫기(Save & Close).
- 모든 인스턴스가 자동 갱신.
방법 B: 참조 편집(REFEDIT)
- 블록 더블클릭 또는
REFEDIT
입력 후 블록 선택. - 도면 상태 그대로 블록 내부 진입 → 수정.
REFCLOSE
후 저장.
4단계: 블록 관리 명령 한눈에
기능 | 명령어 | 핵심 용도 |
---|---|---|
블록 정의 만들기 | BLOCK | 새 블록 작성 |
블록 편집기 | BEDIT | 복잡·동적 블록 수정 |
삽입 | INSERT / I | 블록 배치 |
블록 속성 테이블 | ATTIPEDIT | 속성값 일괄 수정 |
블록 갱신 | REGEN / BREFRESH | 표시 오류 복구 |
블록 목록 정리 | PURGE | 미사용 블록 삭제 |
5단계: 동적 블록 맛보기 (문턱 낮추기)
동적 블록은 크기 조절·가변형 옵션·가시성 전환 등 “스마트 파라미터”를 가진 블록입니다.
- BEDIT로 블록 열기.
- 왼쪽 파라미터 팔레트(Parameters)에서 ‘Linear’, ‘Visibility’ 등 요소 드래그.
- 동작(Action) 팔레트에서 ‘Stretch’, ‘Lookup’ 등을 파라미터에 연결.
- 저장 후 삽입하면 그립(Grip)을 잡아 실시간 변형 가능.
예시: 문 블록에 ‘회전’ 파라미터+액션을 넣으면 설치 각도를 마우스로 조정 가능, ‘Visibility’ 파라미터 넣으면 방향(좌·우개폐) 토글 가능.
6단계: 외부 블록 저장(WBLOCK)으로 라이브러리 구축
WBLOCK
입력 → ‘파일로 내보내기’ 선택.- 원하는 저장 위치(예: 사내 공유 폴더) 지정해 .dwg 블록 라이브러리 구축.
- 다른 도면에서는
INSERT
로 불러와 재사용.
7단계: 실무 활용 팁
- 속성 블록(Attribute): 파트 번호, 재질, 수량 등 텍스트 정보를 속성으로 만들고, 후에
ATTEDIT
로 엑셀처럼 데이터 추출 가능. - 블록 레이어 관리: 블록 내부 객체 색상을 ‘ByBlock’로 두면 삽입한 레이어 색상으로 자동 전환—도면 일관성 확보.
- 표준화: 프로젝트마다 “표준 블록 라이브러리.dwg”를 만들어 팀원과 공유하면 작업 속도 2배↑.
자주 묻는 질문(FAQ)
- 기존 도면에 블록이 너무 많아 느립니다.
→PURGE
로 미사용 블록·레이어를 정리하고, 필요 시WBLOCK
으로 외부 저장 후 도면을 가볍게 유지하세요. - 블록 삽입 시 크기가 엉뚱하게 나옵니다.
→ 생성 당시의 삽입 단위(Units)와 현재 도면 단위가 일치하는지UNITS
로 확인 후 재삽입하세요. - 동적 블록이 아닌 일반 블록으로만 보여요.
→ 파일을 낮은 버전으로 저장 시 동적 기능이 해제될 수 있습니다. 저장 버전을 확인하거나 ‘Explode’ 방지 체크 여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블록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면 도면 작성 효율성과 품질이 크게 향상됩니다. 오늘 소개한 절차대로 직접 실습하며 손에 익힌다면, 앞으로 반복 작업에 쏟는 시간을 대폭 줄이고 핵심 설계 작업에 집중할 수 있을 것입니다. CAD 작업의 생산성 혁신, 블록부터 시작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