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도면 합치는 방법

오토캐드를 사용하다 보면 여러 개의 도면 파일(DWG)을 하나의 파일로 합쳐야 할 때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각 부품별로 나뉜 도면을 한 파일에 모아 관리하거나, 도면 제출 시 1품1도 요구에 맞추기 위해서입니다. 오늘은 오토캐드에서 도면을 합치는 대표적인 방법과 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외부참조(XREF) 기능 활용

외부참조(XREF)는 여러 도면을 하나의 메인 도면에 삽입해 관리하는 가장 표준적인 방법입니다.

  • 실행 방법
    • 새 도면을 엽니다.
    • 명령창에 XR 입력 후 엔터(외부참조 창 실행).
    • [DWG 부착] 클릭 후 합치고 싶은 도면 파일을 선택합니다.
    • 삽입점, 축척, 회전 각도 등은 기본값으로 두고 [확인]을 누릅니다.
    • 도면이 삽입되면, 필요에 따라 M(Move) 명령으로 위치를 조정합니다.
    • 여러 도면을 반복해서 삽입할 수 있습니다.
  • 외부참조 결합(바인드)
    • 외부참조로 삽입된 도면을 완전히 하나의 파일로 만들려면, 외부참조 창에서 해당 도면을 우클릭 → [결합(B)] 또는 [삽입(I)]을 선택합니다.
      • 결합(B): 외부참조가 블록 형태로 추가(도면층이 별도 생성).
      • 삽입(I): 현재 도면의 도면층에 병합1.
    • 결합 후 필요하다면 EX(Explode) 명령으로 블록을 해체할 수 있습니다.

2. INSERT 명령어로 직접 삽입

외부참조 대신 INSERT 명령을 사용해 도면을 직접 삽입할 수도 있습니다.

  • 명령창에 INSERT 입력 후 엔터.
  • 파일 선택 후 삽입 위치와 축척 지정.
  • 이 방법은 참조 없이 도면 데이터를 직접 가져오는 방식입니다.

3. 플러그인/유틸리티 활용

  • 캐드친구(멀티 도면 취합)
    • 여러 도면을 한 번에 불러와 자동으로 배치해주는 플러그인.
    • 폴더 선택 → 좌표값 입력 → 실행 버튼 클릭만으로 여러 도면을 한 파일에 취합.
  • 캐디안 드림(MUIN 명령)
    • 여러 DWG 파일을 동시에 삽입하고, 자동 배열 및 블록 해제까지 지원.

4. 도면 합치기 실전 TIP

  • 도면 위치 조정: 여러 도면을 삽입한 뒤 M(Move) 명령으로 서로 겹치지 않게 배치합니다.
  • 축척 맞추기: 도면마다 축척이 다를 경우, SCALE 명령으로 크기를 조정하세요.
  • 블록 해제: 결합된 도면이 블록 형태라면, EX(Explode) 명령으로 개별 객체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 도면층 관리: 결합 방식에 따라 도면층이 중복될 수 있으니, 결합 후 도면층 정리를 권장합니다.

요약 표 — 도면 합치기 대표 방법

방법특징적용 상황주요 명령어/기능
외부참조(XREF)참조 방식, 원본과 연동도면 원본 유지 필요시XR, 결합(B), 삽입(I)
INSERT직접 삽입, 참조 없이 병합원본 연동 불필요시INSERT
플러그인/유틸리티자동화, 대량 도면 취합반복작업, 대량 도면캐드친구, 캐디안 드림

정리하자면 오토캐드에서 도면을 합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강력한 방법은 외부참조(XREF) 기능을 활용한 뒤 결합(Bind) 또는 삽입(Insert)으로 완전한 병합을 하는 것입니다. 대량의 도면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려면 플러그인이나 유틸리티도 적극 활용해보세요. 도면 합치기 후에는 위치, 축척, 도면층 정리까지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만드는 비결입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