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도면 축척 확인 방법

도면 축척은 도면상의 길이와 실제 길이의 비율을 뜻하며 1:100, 1:50처럼 “A:B” 형식으로 표기합니다.
비율이 1:1이면 현척, 1보다 작으면 실물을 축소한 축척, 1보다 크면 확대한 배척, 비율이 없는 경우는 NS(Non-Scale)로 구분합니다.

모델 공간에서 축척 확인하기

1) 기준 치수로 직접 계산

  • DIM(치수) 명령으로 도면에서 실제 길이를 알고 있는 요소를 재봅니다.
  • 측정된 길이를 실물 길이로 나누면 축척 계수(Scale Factor)를 구할 수 있습니다. 예: 도면 100 mm ÷ 실물 10 000 mm = 0.01 → 1:100 축척.

2) SCALE ↔ Reference 기능 활용

  • 객체 선택 → SCALE → 기준점 지정 → R(Reference) 입력 → “참조 길이”와 “새 길이”를 차례대로 지정하면 현재 축척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명령행에 표시되는 배율(예: 0.01) 역시 도면의 축척 계수를 의미합니다.

도곽 블록으로 빠르게 확인 — XiCAD DFS 명령

XiCAD 사용자는 xiDboxFindScale(DFS) 명령으로 도곽 블록 두 점을 찍기만 하면 현재 도면 축척이 대화상자와 명령창에 표시됩니다.
옵션에서 “축척변수 자동변경”을 체크하면 선축척(DIMSCALE)·치수축척(DIMLFAC)도 동시에 업데이트되어 실수 방지가 가능합니다.

LIST 명령으로 블록 축척 확인

도곽이 블록으로 삽입된 경우 객체를 선택하고 LIST를 실행하면 X, Y, Z 스케일 값이 표시됩니다.
세 축이 모두 1이라면 1:1, 0.5라면 1:2(축소)처럼 쉽게 판별할 수 있어 DFS를 쓰지 않는 환경에서도 유용합니다.

레이아웃(레이어웃) 뷰포트 축척 확인

  1. Paper Space로 전환 후 뷰포트를 더블클릭합니다.
  2. 상태바 하단 “표시된 배율” 드롭다운에서 1:100, 1:50 등 현재 설정된 뷰포트 축척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배율이 소수점으로 어중간할 때는 “맞춤(Fit to paper)” 체크를 해제하고 정확한 값(예: 1 = 100)으로 직접 입력해야 출력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플롯(PLOT) 시 축척 검증 체크리스트

  • 플롯 대화상자 → “플롯 축척”에서 “용지에 맞춤” 해제 후 정확한 배율을 입력합니다.
  • 미리보기에서 치수 1 m가 10 mm로 보이면 1:100이 제대로 적용된 것입니다.
  • 도면 틀 표제란의 “척도” 항목과 플롯 축척이 일치하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 도면이 너무 커서 배율 계산이 복잡해요.
    MEASUREGEOM의 Distance 옵션으로 두 점 간 거리를 재면 실시간으로 길이가 표시되므로 계산이 간편합니다.
  • SCALE로 축소했더니 치수가 틀려요.
    ↳ 객체를 물리적으로 축소·확대했을 때는 DIMLFAC(치수계수)를 반대로 설정하거나, DFS의 “축척변수 자동변경” 옵션을 활용하면 치수가 원래 값으로 표시됩니다.

*정리

모델 공간에서는 기준 치수와 SCALE Reference 기능으로, 레이아웃에서는 뷰포트 배율로, 블록·도곽이 있다면 LIST 또는 XiCAD DFS 명령으로 축척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력 전에는 반드시 플롯 창에서 배율을 재확인해 오차 없는 도면을 완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