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넘버링 리습 사용 방법

오토캐드에서 반복적으로 도면 번호나 페이지 번호, 속성 블록 넘버링 작업을 할 때 수동으로 하나하나 수정하다 보면 작업 효율이 크게 떨어집니다. 리습(LISP) 스크립트를 활용하면 간단한 명령어 입력만으로 연속번호를 자동으로 생성·증가시키고, 원하는 형식으로 일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넘버링 리습들을 설치하는 방법부터 실제 사용 예제까지 단계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리습 준비 및 설치

  • 리습 파일 다운로드
    사용하려는 넘버링 리습(DWGN.lsp, C_NUM.lsp, QN.lsp 등)을 블로그나 배포 사이트에서 내려받아, 작업용 폴더에 저장합니다.
  • APPLOAD 명령으로 리습 등록
    1. 오토캐드 명령창에 AP 또는 APPLOAD 입력 후 Enter
    2. 나타나는 대화상자에서 ContentsAdd 버튼 클릭
    3. 저장해둔 리습 파일을 선택해 Startup Suite에 추가
    4. CloseLoad 후 대화상자 종료

이제 오토캐드를 재실행할 때마다 해당 리습을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DWGN 리습으로 도면 번호 일괄 변경하기

명령어: DWGN
주요 기능: 텍스트 객체를 선택하여 접두사(평면 F-, 천장 C-, 입면 E- 등)와 시작번호(예: 001)를 지정하면 연속번호를 자동으로 할당합니다.

  1. 명령창에 DWGN 입력 후 Space
  2. “Drawing-Section Symbol” 프롬프트에서 접두사 문자 입력(F, C, E 등)
  3. “Enter Start-Number” 프롬프트에서 시작 번호(예: 001) 입력
  4. 변경할 텍스트 객체를 클릭하며 순서대로 선택
  5. 연속 클릭이 끝나면 Space로 명령 종료

적용 팁

  • MText는 한 그룹에 여러 줄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폭파(Explode)하여 단일 텍스트로 분리한 뒤 실행하세요.
  • 텍스트 개수가 많을 땐 윈도우 선택으로 빠르게 객체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C:NUM 리습으로 페이지 번호 및 정렬 넘버링

명령어: C:NUM
주요 기능: 선택된 텍스트 또는 MText 객체에 대해 시작 번호, 증가값, 자릿수 고정 등을 지정해 자동 번호 매김과 재정렬을 수행합니다.

  1. 명령창에 C:NUM 입력
  2. 넘버링할 객체를 선택
  3. “Enter Start-Number”에서 시작 번호(예: 100) 입력
  4. “Enter Fixed-Digits”에서 변경하지 않을 자릿수 입력(예: 2)
  5. 자동 정렬을 원하면 넘버링 순서(1)를 입력

예시

  • 기본 넘버링: 100, 101, 102…
  • 자동 정렬 넘버링: X축 기준 좌에서 우로 001, 002, 003…

QN 리습으로 빠른 넘버링 수정

명령어: QN (Quick Numbering)
주요 기능: 기존 텍스트 숫자를 기준값으로 받아 증감하여 빠르게 수정하거나, 여러 구역별로 나누어 넘버링할 수 있습니다.

  1. 명령창에 QN 입력
  2. 옵션 대화상자(DCL)에서 증감폭, 구역 설정
  3. 변경 대상 객체를 클릭 또는 윈도우 선택
  4. 적용 결과를 미리보기로 확인 후 Enter

옵션 활용

  • 증감폭에 음수를 입력해 역순 넘버링 가능
  • 알파벳 구역별 넘버링(A→B→C 또는 AA→AB→AC…)

넘버링 리습 활용 팁

  • 텍스트 스타일과 크기를 통일한 뒤 실행하면 결과가 깔끔합니다.
  • 배치도 또는 속성 블록(Attribute)을 넘버링할 땐, 블록 편집 기능과 함께 사용하면 번호 삽입·수정이 용이합니다.
  • 대량 넘버링 전에는 반드시 백업 도면을 만들어 리습 실행 결과를 검증하세요.

이제 오토캐드 넘버링 리습을 통해 수십 개, 수백 개의 번호도 몇 번의 클릭만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작업 시간을 줄이고 실수를 방지하는 자동 넘버링 리습으로 도면 편집 효율을 극대화해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