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건축 도면 만드는 방법

AutoCAD로 건축 도면을 작성할 때는 일관된 절차와 규격을 준수해야 정확하고 효율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 도면 설정부터 최종 출력까지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처음에는 도면의 기준이 될 단위와 축척을 설정하고, 중심선부터 구조 벽체·개구부·가구 배치까지 차례로 완성해 나갑니다. 이후 해치·치수·주석 작업을 통해 상세도를 보강하고, 블록과 도면층을 활용해 일관성과 생산성을 높입니다.

1. 도면 초기 설정: 단위, 축척, 템플릿

  • 단위(Unit) 설정: UNITS 명령어로 단위 유형(Decimal, Architectural, Engineering 등)과 정밀도를 지정합니다.
  • 축척(Scale) 적용: 건축 평면도는 주로 1:50, 1:100, 1:200을 사용하며, 상세도는 1:50에서 1:1까지 확대 작성합니다.
  • 템플릿(Template) 선택: ISO, ANSI 등 표준 템플릿을 불러와 레이어·문자 스타일·치수 스타일 등의 초기 환경을 세팅합니다.

2. 중심선 작성

  • 그리드(Grid) 활용: 계획된 공간 구획에 따라 중심선을 배치합니다.
  • LINE/Polyline 사용: 교차점 스냅(Object Snap)을 활용해 정확한 중심선을 작성합니다.

3. 구조 벽체 그리기

  • OFFSET 명령어: 중심선에서 벽 두께만큼 오프셋하여 내·외벽 윤곽을 그립니다.
  • TRIM/EXTEND: 교차되는 선의 불필요한 구간을 잘라내거나 연장해 매끄럽게 연결합니다.

4. 개구부 및 창호 삽입

  • 개구부(Cutout): WALL 객체에서 SUBTRACT 또는 TRIM으로 문·창호 위치를 뚫어냅니다.
  • BLOCK 활용: 문·창호 블록을 삽입해 반복 작업을 최소화합니다.

5. 마감재 및 계단, 입면선 추가

  • HATCH 명령어: 단열재·재료별 패턴을 적용해 해치 작업을 수행합니다.
  • 계단 및 입면선: 평면도를 참고해 STAIR, POLYLINE 등으로 계단 치수와 입면선을 그립니다.

6. 가구 배치 및 실명 기입

  • 가구 배치: BLOCK 또는 외부 참조(XREF)를 활용해 가구, 설비 요소를 효율적으로 배치합니다.
  • 실명(MTEXT): MTEXT로 각 실 이름과 면적 정보를 입력하고, 문자 스타일을 일관되게 설정합니다.

7. 해치 작업

  • 재료 표현: HATCH에서 패턴 유형과 스케일을 지정해 벽체·바닥·지붕 등의 재료를 시각화합니다.
  • Boundary 활용: BOUNDARY 명령어로 해치 영역을 자동 생성해 편리성을 높입니다.

8. 치수 및 주석 처리

  • 치수 스타일(DIMSTYLE): DIMSTYLE 명령어로 치수선 굵기, 화살촉, 간격을 표준화합니다.
  • 문자 스타일(STYLE): STYLE 명령어로 글꼴, 높이, 너비 인자를 설정해 가독성을 유지합니다.

9. 블록 활용 및 도면층 관리

  • 블록(Block): 반복 요소를 블록으로 저장·재사용해 수정 시 일괄 반영합니다.
  • 도면층(Layer): LAYER 명령어로 벽체, 중심선, 치수, 해치 등으로 구분하고, 색상·선종류·가중치를 지정합니다.
  • 도면층 팁: 불필요한 층은 FREEZE로 숨기고, LOCK으로 오작동을 방지합니다.

10. 최종 검토 및 출력

  • 플롯 스타일(CTB/STB): 플롯 스타일 테이블을 적용해 선 굵기와 색상을 인쇄 환경에 맞게 변환합니다.
  • 출력 설정: PAGESETUP 또는 PLOT 명령어에서 용지 크기, 축척, 출력 품질을 확인한 뒤 PDF 또는 도면으로 플롯합니다.

위 과정을 따르면 일관된 기준과 효율적인 워크플로우를 유지하면서 정확도 높은 건축 도면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각 단계에서 레이어·블록·표준 명령어를 적극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고, 주석·치수 작업을 통해 도면의 가독성을 높여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