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CAD 작업 중 느려지는 현상을 최소화하려면 크게 세 가지 단계로 최적화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도면 내부의 오류와 불필요 객체를 정리하는 ‘파일 정리’ 단계, 두 번째는 환경 설정에서 불필요한 화면 요소를 제거하고 그래픽 성능을 향상시키는 ‘옵션 설정’ 단계, 세 번째는 시스템 변수를 조정해 핵심 기능을 간소화하는 ‘시스템 변수 튜닝’ 단계입니다. 아래 가이드를 따라 하면 저사양 환경에서도 쾌적한 AutoCAD 작업이 가능합니다.
1. 파일 및 도면 정리
도면 파일 내부에 쌓인 오류나 사용하지 않는 객체를 정리하면 작업 속도가 크게 향상됩니다.
- AUDIT: 도면의 각종 오류를 제거합니다. 명령어 입력 후 Y → Enter.
- PURGE(PU): 사용하지 않는 블록·레이어·스타일 등을 한 번에 삭제합니다. 명령어 입력 후 “Purge All” 클릭.
- FLATTEN: 모든 객체의 Z 좌표를 0으로 통일해 2D 작업 속도를 개선합니다. 명령어 입력 후 객체 선택 → Y → Enter.
- PLAN: WCS 기준으로 뷰를 재정렬해 올바른 평면 뷰를 유지합니다. 명령어 입력 후 W → Enter.
- APPLOAD: DIET 리습을 로드해 불필요한 기능을 최소화합니다. 명령어 입력 후 DIET 리습 선택 →
DIET
입력 → Enter.
2. 환경 설정 최적화
화면 요소 간소화
불필요한 화면 표시 기능을 꺼두면 렌더링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모눈종이 켜기/끄기: F7.
- 스냅 모드 켜기/끄기: F9.
- 화면 외부 선택 비활성화:
SELECTIONOFFSCREEN
값을 1로 설정.
옵션 설정 (“OP” → Enter)
툴팁·프록시 대화상자 등 불필요 UI를 제거해 응답 속도를 높입니다.
- 툴팁 표시 제거: 화면 표시 → 툴팁 및 롤오버툴팁 체크 해제.
- 프록시 대화상자 제거: 열기 및 저장 → 프록시 정보 대화상자 표시 체크 해제.
- 하드웨어 가속 활성화: 시스템 → 그래픽 성능 → 하드웨어 가속 켜기 및 체크박스 모두 선택.
- 뷰 큐브·UCS 아이콘 제거: 3D 모델링 → 뷰포트에 도구 표시 체크 해제.
3. 시스템 변수 튜닝
아래 표는 핵심 시스템 변수와 권장 값을 정리한 것입니다.
시스템 변수 | 기능 설명 | 권장 값 |
---|---|---|
DYNMODE | 동적 입력 기능 설정 | 0 (OFF) |
TEMPOVERRIDES | F8 직교 모드 전환 버그 해결 | 0 |
HPQUICKPREVIEW | 해치 패턴 미리보기 끄기 | 0 |
DWGCHECK | 도면 열 때 잠재 문제 검사 끄기 | 0 |
ROLLOVERTIPS | 객체 롤오버 툴팁 표시 끄기 | 0 |
QPMODE | 빠른 특성 팔레트 표시 끄기 | 0 |
VTENABLE | 동적 줌(뷰 변환 애니메이션) 비활성화 | 0 |
WHIPTHREAD | 다중 코어 재생성·다시 그리기 활용 | 3 (코어 수에 맞게) |
REGENAUTO | 자동 재생성 비활성화 | 0 |
DRAGP1 | 이동 중 객체 미리보기 최대 개수 설정 | 10 |
세 단계의 최적화를 완료하면 AutoCAD의 불필요한 연산을 최소화해 화면 전환과 명령 실행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집니다. 작업 중에도 주기적으로 파일 정리와 변수 설정을 점검해 쾌적한 설계 환경을 유지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