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노캐드 파일을 오토캐드에서 여는 방법 (DWG 오류)

라이노(Rhino)와 오토캐드(AutoCAD)는 모두 건축, 인테리어, 제품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CAD 프로그램입니다. 하지만 두 프로그램의 기본 파일 포맷이 달라 라이노에서 만든 3DM 파일을 오토캐드에서 바로 열 수는 없습니다. 오늘은 라이노 파일을 오토캐드에서 열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과 주의사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라이노 파일을 오토캐드 호환 포맷으로 변환하기

라이노에서 작업한 3DM 파일을 오토캐드에서 열기 위해서는 먼저 라이노에서 DWG 또는 DXF 포맷으로 내보내야 합니다.

  • 라이노에서 파일을 열고, 상단 메뉴에서 File > Export 또는 File > Save As를 선택합니다.
  • 파일 형식에서 AutoCAD Drawing (*.dwg) 또는 AutoCAD DXF (*.dxf)를 선택합니다.
  • 원하는 저장 위치와 파일명을 입력한 후 저장합니다.
  • 저장 시 나오는 옵션 창에서 도면의 단위, 버전(예: AutoCAD 2013), 레이어 등 필요한 설정을 확인하고 저장합니다.

Tip:
DXF 포맷이 DWG보다 오류가 적은 경우가 많으니, 변환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DXF로 저장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오토캐드에서 변환된 파일 열기

  • 오토캐드를 실행한 후, File > Open 메뉴에서 변환한 DWG 또는 DXF 파일을 선택해 엽니다.
  • 파일이 정상적으로 열리면, 레이어, 선 종류, 치수 등 도면 정보를 확인합니다.

3. 라이노 3DM 파일을 오토캐드에서 직접 가져오기 (Import)

최신 오토캐드 버전에서는 3DM(라이노) 파일을 직접 가져오는 기능도 지원합니다.

  • 오토캐드에서 File > Import를 선택합니다.
  • 파일 형식에서 Rhino (*.3dm)을 선택한 후, 가져올 3DM 파일을 지정합니다.
  • 가져오기 옵션을 확인하고 진행합니다.

단, 이 방법은 오토캐드 버전 및 3DM 파일의 버전에 따라 지원 여부가 다를 수 있으니, 파일이 정상적으로 열리지 않는다면 반드시 DWG/DXF 변환 방법을 사용하세요.

4. 변환 시 주의사항

  • 도면 단위: 라이노와 오토캐드의 단위(미터, 밀리미터 등)가 다르면 도면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니, 내보내기/가져오기 옵션에서 단위를 꼭 확인하세요.
  • 레이어 구조: 라이노의 레이어 구조가 오토캐드로 잘 넘어가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객체 위치: 도면의 객체가 원점(0,0,0) 근처에 있어야 오토캐드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버전 호환성: 라이노의 최신 버전(예: Rhino 7)에서 저장한 파일은 구버전(예: Rhino 6)에서 열리지 않을 수 있으니, 필요한 경우 낮은 버전으로 저장하세요.

*정리

  1. 라이노에서 DWG/DXF로 내보내기(Export/Save As)
  2. 오토캐드에서 변환된 파일 열기(Open)
  3. 최신 오토캐드라면 3DM 파일 직접 Import도 시도
  4. 단위, 레이어, 객체 위치 등 세부 옵션 꼼꼼히 확인

이 과정을 따르면 라이노에서 작업한 도면을 오토캐드에서도 무리 없이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협업이나 외부 업체와의 파일 교환 시에는 DWG/DXF 변환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니 참고하세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