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가지 대표적인 방법으로 지적도를 CAD 형식으로 내려받아 바로 설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국가공간정보포털을 통한 정식 경로, 로그인 없이 간편한 무료 웹 도구, 그리고 전문 플러그인 활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국가공간정보포털(Open Market) 이용하기
1. 회원가입 및 로그인
- 국가공간정보포털에 접속해 회원가입을 완료한 뒤 로그인합니다.
2. 연속지적도 데이터 다운로드
- 상단 메뉴의 ‘데이터셋 → 오픈마켓’으로 이동합니다.
- 원하는 지역(시·군·구)을 검색해 ‘연속지적도’ 또는 ‘수치지도(지적도)’ 항목을 선택 후 다운로드합니다. SHP, SHX, DBF 파일이 압축되어 내려옵니다.
3. DXF 변환 및 AutoCAD 열기
- 국토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수치지도활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해 파일을 열고, 상단의 ‘Export(내보내기)’ 기능을 이용해 DXF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 저장된 DXF 파일을 AutoCAD에서
파일 → 열기
로 불러오면 지적도 도면이 1:1 스케일로 표시됩니다. 필요 시SC
명령어로 스케일을 1000(1:1000) 등으로 조정합니다.
ArchMap 웹사이트로 간편하게 받기
1. 사이트 접속 및 영역 선택
- ArchMap(https://archmap.gitlab.io)에 접속하면 별도 로그인 없이 카카오맵 기반 화면이 나타납니다.
- ‘도형선택(사각형, 다각형)’ 버튼으로 설계 대상 부지를 지정합니다.
2. CAD 파일 다운로드
- 메인 툴바의 ‘CAD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고 파일 이름만 입력하면 바로 .dxf 파일이 컴퓨터로 저장됩니다.
- 다운로드된 DXF를 AutoCAD에서 열면 별도 변환 없이 지적도가 나타나며, UTM-K(EPSG:5179) 좌표계가 기본 적용됩니다.
Ansens Know-how 플러그인 활용하기
1. 플러그인 설치 및 로드
- QShapeImport(QSI)와 QTransCoord(QTC)가 포함된 Ansens 플러그인을 다운로드해 압축 해제합니다.
- AutoCAD에서
NETLOAD
명령어로 해당 DLL 파일을 불러옵니다.
2. 지적도 삽입 과정
- QSI 명령어를 실행해 SHP 파일을 선택하고, 법정동 코드(PNU)를 입력해 변환을 요청합니다.
- 변환된 선·라벨을 확인한 뒤 QTC 명령어로 좌표계를 맞춰 지형도 위에 정확히 겹치도록 삽입합니다.
- 블록 단위로 지형도와 지적도를 관리하면 도면 정리가 용이합니다.
추가 팁
- 폰트 설정: SHX 글자가 깨질 경우
STYLE
명령어로 굴림 등 한글 지원 폰트로 변경합니다. - 스케일 보정: 다운로드 직후 1:1 스케일이므로 설계 규모에 따라
SC
명령어로 배율을 조정하세요. - 좌표계 확인: 프로젝트 기준에 맞춰 UTM-K, TM, GRS80 등 적절한 좌표계를 적용합니다.
지적도를 CAD로 내려받는 방법은 각 환경과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국가공간정보포털은 공신력을, ArchMap은 편리함을, Ansens 플러그인은 자동화와 정밀도를 제공합니다. 필요에 맞춰 최적의 방식을 활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