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치수에 소수점까지 표시하기

단수(정수) 치수 표기만으로는 도면 해상도와 공차 관리가 어렵습니다. 치수를 소수점 자리수까지 표현하면 제작‧시공 단계에서 생길 수 있는 오차‧재작업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오토캐드(Autodesk AutoCAD)에서 치수의 소수점 자릿수를 조정하는 세 가지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기존 치수를 한 번에 변경하기 (DIMSTYLE)

  1. DIMSTYLE 명령 실행
    • 커맨드라인에 DIMSTYLE 입력 → 엔터.
    • 대화상자 “치수 스타일 관리자”가 열립니다.
  2. 대상 치수 스타일 선택 후 수정(M) 클릭
    • 회사 표준이 있다면 해당 스타일을, 없다면 Standard 선택.
  3. “기본” 탭 → 정밀도(Precision) 조정
    • “주 단위(Primary Units)” 섹션의 정밀도 드롭다운에서 원하는 소수 자릿수(예: 0.00, 0.000) 선택.
    • MM 단위 도면은 보통 0.00, 인치 도면은 0.0000을 자주 사용.
  4. 필요 시 영점 제거(Trailing Zeros) 설정
    • “0.500”을 “0.5”로 표현하려면 0 제거 옵션 활성화.
    • 반대로 정확한 자리수 유지가 중요하면 비활성화.
  5. 확인 → 닫기 → 치수 업데이트 적용
    • 기존 치수가 자동으로 새 정밀도로 재표시됩니다.

2) 특정 치수만 개별 수정하기 (PROPERTIES)

  1. PROPERTIES(속성) 창 열기
    • Ctrl+1 또는 리본->홈 탭->속성.
  2. 치수 객체 선택
    • 소수점 자릿수를 바꾸려는 특정 치수를 클릭.
  3. 속성창의 Primary UnitsPrecision 값 변경
    • 0.0·0.00·0.000 등 필요한 값 선택.
    • 동일 창에서 Trailing Zeros(영점)도 조절 가능.

Tip: 이 방법은 스타일을 건드리지 않으므로 같은 도면 내에서도 치수마다 서로 다른 정밀도를 줄 수 있습니다.


3) 치수 스타일 새로 만들어 적용하기 (회사/프로젝트 표준용)

  1. DIMSTYLE새로 만들기(New)
  2. 적절한 이름(예: “ISO_mm_0.00”) 입력 후 계속(Continue).
  3. “기본” 탭에서 소수점 정밀도 및 영점 옵션 설정.
  4. “기호 및 화살표”, “문자” 등 나머지 설정까지 정의 후 확인.
  5. 배포
    • Set Current(현재값으로 설정) 버튼을 눌러 새 도면에 기본 적용.
    • 또는 DIMOVERRIDE 명령으로 객치부분(치수 재정의) 사용.

자주 묻는 Q&A

  • Q. 표시는 소수점 2자리인데 실제 값은 더 정밀한가요?
    A. 네, 오토캐드는 내부적으로 더 많은 자릿수를 유지합니다. 치수 표시는 단지 렌더링 옵션일 뿐, 엔티티의 실제 길이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 Q. 소수점 대신 천분 단위(예: ⌀20.5 대신 ⌀20,5) 컴마로 바꾸려면?
    A. 동일한 “주 단위” 탭에서 Decimal Separator 항목을 쉼표로 변경하면 됩니다 (AutoCAD 2022 이상).
  • Q. 외부참조(Xref) 치수를 건드릴 수 없을 때는?
    A. Xref 자체를 열어 그 도면의 DIMSTYLE을 수정하거나, 본 도면에 오버레이된 치수는 DIMASSOC 값을 2(주석 객체)로 지정 후 개별 수정할 수 있습니다.

실무 팁

  • 도면 규격 준수: ISO 129-1(2020)에서는 치수 소수점 뒤 두 자리(0.00)를 권장합니다. 회사 규격에 맞게 스타일을 통합하세요.
  • 템플릿 사용: .DWT 템플릿에 치수 스타일을 저장해 매 프로젝트마다 반복 설정을 방지.
  • 검증 스크립트: 배치 플러그인이나 LISP로 DIMSTYLE 일치 여부를 점검해 도면 품질 관리(QC)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위 방법으로 오차 없는 디테일이 보장된 도면을 제작해 보세요. 치수 정밀도는 단순한 숫자 표시 이상의 가치, 곧 품질입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