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작업물은 실제 크기가 핵심입니다. 치수 오류가 난 도면은 설계·시공 단계에서 치명적인 비용을 초래하기 때문이죠. 아래 절차대로 따라 하면 모델 공간(Model Space)과 레이아웃(Layout) 모두에서 정확한 스케일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1. 모델 공간에서 ‘실물 1:1’ 원칙 지키기
모델 공간에서는 항상 실제 길이(1:1)로 그린다는 원칙을 지켜야 합니다.
예: 3m 벽이면 3,000 mm, 3,000 mm로 입력
- 단위 확인:
UNITS
명령으로 Length Type(mm, cm, m 등) 설정 - 이미 그려진 객체의 실측이 틀리다면
SCALE
명령으로 재조정SCALE
→ 객체 선택 → 기준점 지정- “Reference” 옵션(R) → 기존 길이 입력 → 목표 길이 입력
팁:
DIST
명령으로 객체 길이를 실시간 확인해 오차를 즉시 교정하세요.
2. 외부 도면 삽입 시 스케일 맞추기
DWG·DXF·PDF·이미지 등 외부 자료를 넣을 때는 초기 스케일이 어긋나기 쉽습니다.
- DWG/DXF
INSERT
후 옵션에서 “Specify On-Screen”을 체크 → 삽입 후SCALE
같은 방법으로 실제 치수에 맞춤- 블록(Block) 단위라면 블록 편집기(BEDIT) 안에서 조정하면 전체에 적용
- PDF 언더레이
PDFIMPORT
→ “Specify Insertion Point” 체크- 삽입 뒤, 알려진 두 점 사이 실제 길이를 기준으로
ALIGN
명령
예: 평면도에서 기둥 중심 거리 6,000 mm → 첫 점·둘째 점 찍고 6,000 입력
- 라스터 이미지(JPG, PNG)
IMAGEATTACH
→ 삽입 후, 투명도 조절(T)- 이미지를 선택 → 우측 팝업 “Scale” → 기준 길이로 배율 조정
3. 레이아웃에서 축척(Plot Scale) 설정
모델 공간을 1:1로 그렸다면, 출력 축척은 **레이아웃에서 뷰포트(Viewport)**로 결정합니다.
- 레이아웃 탭 추가 (
+
아이콘) → A1, A3 등 용지 설정 (PAGESETUP
) MV
로 뷰포트 생성 → 뷰포트 선택 후 속성창(CTRL+1) ► Standard Scale- 건축: 1:100(0.01), 1:50(0.02)
- 기계: 1:1, 1:2, 1:5 등
- 원하는 축척 없으면 Custom Scale: 분자/분모 입력
- 1:75 → 1/75
- 3/1000처럼 소수점 대신 분수 사용
- 뷰포트 잠그기(자물쇠 아이콘) → 이후 팬(PAN)해도 축척 유지
4. 치수 스타일을 축척에 맞추는 방법
출력 축척이 1:50이면 문자·화살표 크기를 그 50배로 설정하면 읽기 좋습니다.
DIMSTYLE
→ 수정- Text Height = 원하는 출력 높이(2.5 mm) × 50 = 125 mm
- Arrow Size도 같은 배율 적용
- 치수 기입 후
DIMLFAC
변수로 전체 배율 조정 가능
예: 전체 도면이 1:10 축척이면DIMLFAC
를 10으로 세팅해 치수값 자동 변경
5. 자주 묻는 스케일 오류 해결 FAQ
증상 | 원인 | 해결 |
---|---|---|
출력했더니 치수선은 맞는데 실제 길이가 다르게 측정됨 | 뷰포트 축척은 OK, 모델 공간 자체가 잘못 그려짐 | SCALE (Reference)로 모델 재조정 |
PDF 가져왔더니 확대·축소가 애매함 | PDF 해상도+삽입 시 임의 배율 | ALIGN 으로 두 점 기준 맞춤 |
레이아웃마다 같은 객체 크기가 다르게 보임 | 뷰포트마다 축척 잠금 안 됨 | 뷰포트 Lock 활성화 |
6. 필수 단축 명령 요약
UNITS
– 단위 설정DIST
– 두 점 거리 확인SCALE
– 배율 조정 (Reference 옵션 중요)ALIGN
– 삽입 객체 두 점 기준 정렬·스케일MV
– 레이아웃 뷰포트 생성DIMSTYLE
– 치수 스타일 편집
정리하자면 오토캐드 스케일 작업은 “모델 1:1, 출력은 뷰포트에서”라는 단순 원칙만 지키면 복잡하지 않습니다. 익숙해지면 몇 번의 클릭으로 오류 없는 도면을 낼 수 있으니, 위 단계대로 연습 프로젝트를 만들어 직접 적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