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 렉 줄이기 (렉 줄이는 최적화 방법)

오토캐드를 사용하다 보면 도면이 커지거나 작업 시간이 길어질수록 ‘렉’이나 ‘버벅임’ 현상 때문에 작업 효율이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는 하드웨어 성능뿐 아니라, 오토캐드 내부 설정과 파일 관리 습관만 바꿔도 충분히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오토캐드 렉 줄이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도면 파일 정리 및 최적화

  • 불필요한 객체/레이어/블록 정리:
    도면에 사용하지 않는 객체, 레이어, 블록이 많으면 파일이 무거워집니다.
    • PURGE 명령어로 불필요한 요소 제거
    • AUDIT 명령어로 도면 오류 검사 및 수정
    • FLATTEN 명령어로 Z값을 0으로 통일
    • PLAN 명령어로 WCS 뷰 정렬
      이러한 명령어는 주기적으로 사용해 도면을 가볍게 유지하세요.
  • 외부 참조(XREF) 및 이미지 관리:
    깨진 외부 참조나 불필요한 이미지가 있으면 속도가 저하됩니다.
    • 외부 참조 파일 경로를 정리하고, 사용하지 않는 이미지는 삭제하세요.

2. 오토캐드 설정 최적화

  • 불필요한 시각 효과 끄기:
    • [옵션(OP) → 시스템 → 하드웨어 가속]에서 ‘그래픽 성능’을 ‘켜기’로 설정
    • [옵션(OP) → 화면표시]에서 ‘툴팁 표시’, ‘롤오버툴팁’ 등 체크 해제
    • 자동저장 주기를 10분에서 20~30분으로 늘려 저장 시 발생하는 렉 방지.
  • 동적 입력, 해치 미리보기 등 기능 비활성화:
    • DYNMODE = 0 (동적입력 끄기, F12 단축키로도 가능)
    • HPQUICKPREVIEW = 0 (해치 미리보기 끄기)
    • VTENABLE = 0 (뷰 변환 시 부드러운 효과 끄기)
    • ROLLOVERTIPS = 0 (객체 위 툴팁 끄기)
    • SELECTIONCYCLING = 0 (선택순환 끄기)
    • QPMODE = 0 (빠른 특성 팔레트 끄기)
    • ‘올가미 모드’ 비활성화: [옵션(OP) → 선택 → 올가미의 누른 채 끌기 허용] 체크 해제.
  • 작업 화면 단순화:
    • 모눈(F7), 스냅모드(F9) 등 불필요한 화면 기능 끄기
    • 뷰 큐브, UCS 아이콘 등 3D 도구 표시 해제.

3. 하드웨어 및 시스템 환경 개선

  • 그래픽 드라이버 최신화: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면 캐드의 그래픽 처리 속도가 향상됩니다.
  • SSD 사용 및 메모리 업그레이드:
    HDD 대신 SSD를 사용하고, 램 용량을 늘리면 전체적인 속도가 빨라집니다.
  • 임시 파일, 캐시 파일 정리:
    오토캐드 임시 파일 및 윈도우 임시 파일을 주기적으로 삭제하세요.

4. 기타 팁

  •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검사:
    바이러스나 악성코드로 인해 캐드가 느려질 수 있으니, 백신 프로그램으로 정기 검사하세요.
  • 불필요한 애드온/플러그인 제거:
    사용하지 않는 추가 기능은 비활성화하거나 제거하세요.
  • 작업 중 자주 저장(CTRL+S) 대신 자동저장 주기 조정:
    저장 시 렉이 발생한다면 자동저장 주기를 늘리고, 꼭 필요한 경우에만 수동 저장을 사용하세요.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핵심 명령어 요약

명령어기능 설명추천 설정값
AUDIT도면 오류 검사 및 수정
PURGE불필요한 객체, 블록, 레이어 삭제
HPQUICKPREVIEW해치 미리보기 끄기0
DYNMODE동적 입력 끄기0
VTENABLE뷰 변환 부드러운 효과 끄기0
ROLLOVERTIPS롤오버 툴팁 끄기0
QPMODE빠른 특성 팔레트 끄기0
SELECTIONCYCLING선택 순환 끄기0
REGENAUTO자동 재생성 끄기0

정리하자면 오토캐드의 렉 현상은 대부분 불필요한 기능 및 데이터가 쌓여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명령어와 설정 변경, 그리고 주기적인 파일 정리만 실천해도 작업 속도가 크게 개선됩니다.
실무에서 바로 적용해보고, 쾌적한 오토캐드 환경을 만들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