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캐드의 동적 블록(Dynamic Block)은 하나의 블록으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표현할 수 있어, 반복 작업을 줄이고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오늘은 동적 블록의 기본 개념부터 실제 작성 및 활용 방법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동적 블록이란?
- 동적 블록은 블록 내부에 매개변수(Parameter)와 동작(Action)을 추가해, 삽입 후에도 길이, 각도, 표시/숨김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블록입니다.
- 예를 들어, 창문 블록을 하나만 만들어 두고, 현장에 맞게 폭이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동적 블록 만드는 절차
1. 기본 도형 그리기 및 블록 생성
- 먼저 도면에서 동적 블록으로 만들 도형(예: 창문, 찬넬, 책상 등)을 그립니다.
BLOCK
명령 또는 [삽입] 탭 → [블록 정의] → [블록 작성]을 클릭하여 블록으로 저장합니다.
2. 블록 에디터 진입
- 만든 블록을 더블클릭하거나, 우클릭 후 [Block Editor]를 선택해 블록 편집기로 들어갑니다.
- 블록 편집기에서는 동적 블록에 필요한 매개변수와 동작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3. 매개변수(Parameter) 추가
- 블록 제작 팔레트(Authoring Palettes)에서 [Parameters] 탭을 선택합니다.
- 예를 들어, 길이를 조절하고 싶다면 [Linear(선형)] 매개변수를 선택 후, 시작점과 끝점을 지정합니다.
- 매개변수는 블록의 변형 기준이 되는 요소입니다.
4. 동작(Action) 추가
- [Actions] 탭에서 원하는 동작(예: Stretch(신축), Move(이동), Array(배열) 등)을 선택합니다.
- 매개변수와 연결해, 예를 들어 선형 매개변수에 Stretch 동작을 연결하면 블록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 동작을 추가할 때는 신축, 이동, 회전 등 원하는 변형 방식을 선택합니다.
5. 동작 범위 및 객체 지정
- 동작을 추가하면, 변형이 적용될 범위와 객체를 지정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신축 동작은 변형시킬 부분을 드래그로 선택하고, 실제로 변형될 객체(선, 면 등)를 지정합니다.
6. 저장 및 테스트
- 블록 편집기를 닫고 저장합니다.
- 도면에 블록을 삽입한 후, 나타나는 파란색 또는 노란색 Grip(손잡이)를 드래그하여 동적 블록이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실전 예시: 양쪽으로 신축되는 동적 블록
- 블록 편집기에서 선형 매개변수(Linear Parameter)를 양쪽 끝에 추가
- [Stretch] 동작을 각 매개변수에 연결
- 신축 범위와 객체를 지정
- 저장 후 블록을 삽입, 각 끝의 Grip을 잡아 양쪽으로 자유롭게 신축 가능
동적 블록의 활용 팁
- 반복적으로 길이, 각도, 배열이 달라지는 부품이나 가구, 창문, 도어 등에 매우 유용합니다.
- 매개변수의 속성에서 증분(Increment) 값을 설정하면, 예를 들어 50mm 단위로만 길이가 늘어나도록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배열(Array) 동작을 활용하면, 블록의 길이가 늘어날 때마다 일정 간격으로 객체(예: 구멍, 볼트 등)가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정리하자면 동적 블록을 잘 활용하면 도면의 일관성 유지와 작업 속도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처음에는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몇 번만 연습하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복 작업이 많은 도면 작업자라면 꼭 익혀두길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