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를 위한 오토캐드 도면 보는 법

오토캐드 파일(DWG)을 처음 열면 선과 숫자, 기호가 뒤섞여 무엇부터 봐야 할지 막막하다. 아래 순서를 따라가면 대부분의 건축·기계 도면을 빠르게 해독할 수 있다.

1. 도면 종류부터 구분하기

  • 평면도(Plan) : 바닥에서 1.5 m 높이에서 내려다본 건물의 ‘가로 단면’으로 실 배치·출입 동선을 파악한다.
  • 입면도(Elevation) : 동·서·남·북 네 방향 외관을 정면으로 그린 그림으로 창, 문 위치와 외장 재료를 확인한다.
  • 단면도(Section) : 구조체를 수직으로 잘라 내부 층고, 바닥·천장 두께를 표시한다.
  • 배치도(Site plan) : 대지와 건물·주변 도로 관계를 한눈에 보여준다.

도면 탭이나 파일 이름에 PLAN, ELEV, SEC, SITE 같은 약어가 붙어 있으니 먼저 도면 성격을 파악한다.

2. 제목란 5 초 점검

도면 오른쪽 하단(또는 좌하단)의 Title Block에는 다음 정보가 있다.

  • 축척(Scale) : 예) 1:100 → 실측의 100분의 1로 축소.
  • 도면 번호·버전 : 현장에서는 “A-101” 같은 넘버로 도면을 호출하므로 파일·출력물 관리 시 필수.
  • 작성·검토·승인일 : 최신 버전을 확인할 때 사용.

3. 축척 눈금 이해하기

  • 1:50 > 1:100 > 1:200 순으로 같은 건물이라도 도면이 커진다.
  • 두 가지 이상 축척이 섞이면 빨간 글씨 등으로 따로 표기하므로 실측값 환산 시 실수하지 않는다.

4. 레이어(Layer) 켜고 끄면서 구조 파악

오토캐드 상단 ‘LAYERS’ 패널에서 전기·배관·치수 등 불필요한 레이어를 잠시 꺼두면 핵심 외형만 남아 구조 파악이 쉽다.

Tip) LayIso, LayUniso 명령으로 선택 레이어만 단독 표시/복귀.

5. 선(Line)과 굵기(Weight)로 정보 읽기

선 종류주 용도표준 굵기 비율
실선외형선·치수선1
1점 쇄선중심선1
파선숨은선(보이지 않는 모양)1
굵은선절단선·강조2
아주 굵은선절단면 표시4

가느다란 기준선 0.25 mm를 기준으로 굵은선 0.5 mm, 아주 굵은선 1.0 mm를 쓰면 가독성이 확보된다.

6. 치수(Dimension)·기호(Symbol) 해석법

  • 치수선 끝의 화살표를 따라가면 실제 길이·높이를 알 수 있다. 단위는 제목란에 mm, m 등으로 표기한다.
  • 창문·문, 재료, 단차 등은 도면 기호 + 문자주석으로 표기된다. 도면 우측 하단이나 별도 ‘Legend’에서 기호 목록을 찾아본다.

7. AutoCAD 명령어로 ‘확인–측정–비교’

목적대표 명령사용 팁
화면 이동PAN (마우스 휠 클릭 드래그)빠른 탐색
확대·축소Z, Enter, E(Extent)전체 범위 한눈에
거리 측정DIST, Enter두 점 클릭 → 실거리 확인
각도 측정DIMANGULAR회전계단·경사로 확인
객체 스냅F3 or Shift+우클릭끝점·중점·교차점 정확히 찍기

8. 한눈에 읽는 점검 순서

  1. 파일 열자마자 Title Block으로 축척·도면 종류 확인
  2. Layer 켜고 끄며 외형 → 구조체 → 설비 순으로 살펴보기
  3. 굵은선/절단선을 따라 주요 단면 위치 파악
  4. 치수·기호로 실측 치수와 재료 체크
  5. DIST로 의심 구간 길이 재확인 후 이해 완료

9. 처음 출력할 때 주의할 것

  • Model 공간 도면은 Plot 시 축척이 맞지 않을 수 있으니 Layout 탭에서 Viewport 축척을 Title Block과 동일하게 맞춘다.
  • PDF·플로터에서 ‘Plot with plot styles(CTB)’를 선택해 선 굵기가 정확히 표현되도록 한다.

위 순서대로 따라가면 낯선 DWG 파일도 10분 안에 구조·치수·재료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반복해서 열어보고, 레이어와 선 굵기를 의도적으로 조작해 보면 도면 해독 속도가 더욱 빨라진다.

댓글 남기기